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TIL
- javascript
- node.js
- java
- dfs
- Interceptor
- REST API
- 인접행렬
- GraphQL
- html
- Spring
- MySQL
- 탐욕법
- 프로그래머스
- puppeteer
- css
- nestjs
- JWT
- 인접리스트
- bean
- 자료구조
- Linux
- 코딩테스트
- OOP
- typescript
- 알고리즘
- winston
- Deep Dive
- LifeCycle
- Kubernetes
- Today
- Total
목록변수 (2)
처음부터 차근차근

변수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값을 저장해 둘 공간이 필요한데, 그 공간을 변수라고 합니다. 변수(variable)는 이름 그대로 변할 수 있다는 뜻을 의미하며, 공간에 들어간 값은 변할 수 있습니다. 변수 선언 저장공간, 즉 변수가 필요하다면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합니다. //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// 변수타입 변수이름; int a; 숫자 정수( `integer` )를 보관할 수 있는 이름이 `a` 라는 데이터 저장소를 만든다. 이것을 변수라 한다. 이렇게 변수를 만드는 것을 변수 선언이라 한다. 이제 변수 `a` 에는 숫자 정수를 보관할 수 있다. 정수 뿐만 아니라 문자, 소수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. 변수를 선언하면, 메모리의 빈 공간에 '변수타입'에 알맞은 크기의 저장공간이 확보..

1. 변수는 무엇인가? 왜 필요한가??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를 입력(input)받아 처리하고, 그 결과를 출력(output)하는 것이 전부다. 그렇다면 변수란??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핵심 개념 변수 :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말한다. → 간단히 말하자면, 변수는 값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징적인 이름 변수 이름(변수명, 식별자) :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 변수값 : 변수에 저장된 값 할당(assignment 대입, 저장) :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 2. 식별자 식별자(변수 이름) :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 값은 메모리 공간에 저장 → 식별자는 메모리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