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javascript
- LifeCycle
- Spring
- OOP
- puppeteer
- java
- Kubernetes
- nestjs
- 프로그래머스
- typescript
- 알고리즘
- css
- REST API
- 인접리스트
- GraphQL
- node.js
- Deep Dive
- MySQL
- JWT
- html
- 자료구조
- Linux
- dfs
- 인접행렬
- winston
- TIL
- bean
- 탐욕법
- 코딩테스트
- Interceptor
Archives
- Today
- Total
처음부터 차근차근
[TIL - 231204] 기업 면접 진행, 기업 과제 Refactoring 진행 본문
728x90
오늘 한 일
- 회사 기술면접 진행
- Survey-test Refactoring
기업 면접 진행
- 기술 면접을 진행하였다.
- NestJS에 대한 질문뿐만 아니라 DB설계와 API 설계 시 확장성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았다.
- 또한 현재 내가 설계한 비즈니스 로직에 대해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도 한번 고민하게 되었다.
내가 설계한 DB에 대해서 확장성, 기능적인 문제에 대해 고려하여 설계하였는가??
- Entity 설계 시 TypeORM의 강점 중 하나인 Array 타입을 적용
- 그러나 확장성, 기능적인 문제에 대한 고려 부분에서는 미숙한 점이 있었다.
1. 설문지 답안이 제출된 상태에서 어떠한 설문지 문항의 점수가 수정되었을 경우, 제출된 답안의 점수는 어떻게 수정할 수 있을까?
2. 현재 도메인은 Survey 하나인데, 왜 Module은 두개인가요??
3. Survey가 없는 상태에서도 Question이 생성이 되나요??
4. 그렇다면 왜 CASCADE를 Question에 설정해 뒀나요??
5. 비즈니스 로직 수정이나, API 수정 없이 DB만 수정해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??
다양한 질문을 받으면서 느낀 점은
어떠한 기능, 비즈니스 로직, DB를 설계하는 경우, 확장성과 기능적인 문제에 대해서 다양하게 고민해야 하고, 고민 끝에 최적의 결론을 도출하여 진행해야 한다.
였으며, 이번 과제에서는 그 부분이 미흡하였다.
Survey-test Refactoring
- 기업 과제에 대해 리펙토링을 진행하였다.
- Logger에 대한 기능 공부를 많이 하여 추가적으로 Refactoring이 수월하였다.
- 그러나 현재 내가 설계한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Refactoring 능력이 떨어진다.
기업 과제를 제출하면서 Refactoring을 해야하는 부분을 생각했다.
1. Logger 기능 Refactoring 진행 (완료)
2. 현재 설문지 답안은 단답형 답안만 제출할 수 있는데, 복수형 답안도 제출할 수 있도록 Refactoring 진행
3. 설문지 답안이 제출된 상태에서 어떠한 설문지 문항의 점수가 수정되었을 경우, 제출된 답안의 점수는 어떻게 수정할 수 있을까??
이런 부분들을 고려하면서 DB 설계나 혹은 API 비즈니스 로직을 수정해야 된다고 판단하였다.
또한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, 현재 GraphQL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못한 점도 문제에 해당한다.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 - 231209] Node.js, 동기/비동기 & Blocking/Non-Blocking (0) | 2023.12.09 |
---|---|
[TIL - 231208] 기술면접 회고, 블로그 이관 관련 정리 진행 (0) | 2023.12.09 |
[TIL - 231127] NestJS 공식 문서 정리 및 강의 수강 (0) | 2023.11.28 |
[TIL - 231125] NestJS 정리, HTML 기초 강의 수강 (1) | 2023.11.25 |
[TIL - 231124] NestJS 기본 정리, GraphQL, REST API 설계 원칙 (1) | 2023.11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