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html
- winston
- LifeCycle
- javascript
- JWT
- node.js
- Spring
- 코딩테스트
- GraphQL
- nestjs
- typescript
- Deep Dive
- MySQL
- 알고리즘
- Kubernetes
- OOP
- puppeteer
- 탐욕법
- java
- 인접행렬
- Interceptor
- TIL
- 인접리스트
- REST API
- css
- 자료구조
- bean
- 프로그래머스
- Linux
- dfs
- Today
- Total
처음부터 차근차근
[Network 기초] Traffic, Throughput, bandwidth, RTT 본문
Traffic
서버와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에서 특정 시점 내의 "흐르는" 데이터의 양을 의미한다.
Ex) 서버에 저장된 파일(문서, 이미지, 동영상 등)을 클라이언트(사용자(가 다운로드 시 발생되는 데이터의 누적량
- 트래픽이 많아졌다 = 흐르는 데이터가 많아졌다.
- 처리량이 많아졌다 = 처리되는 트래픽이 많아졌다.
단위 : bps(bits per second)
예시로, 10MB 동양상이 10명이 다운로드 시 누적 트래픽은 어떻게 될까??
10 X 10 = 100MB이다.
Throughput 처리량
스루풋 (throughput) 또는 처리율(處理率)은 통신에서 네트워크상의 어떤 노드나 터미널로부터 또 다른 터미널로 전달되는 단위시간당 디지털 데이터 전송으로 처리하는 양을 말한다.
즉,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을 말하며, 보통 얼만큼의 트래픽을 처리했는지를 나타낸다.
많은 트래픽을 처리한다 = 많은 처리량을 가진다
처리량은 사용자들이 많이 접속할 때마다 커지는 트래픽, 네트워크 장치 간의 대역폭, 네트워크 중간에 발생하는 에러, 장치의 하드웨어 스펙에 영향을 받는다.
단위 : bps
Bandwidth 대역폭
대역폭은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를 말하며, 최대로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을 의미한다.
네트워크 대역폭이 높을수록, 한번에 더 많은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.
단위 : bps
Q. 100Mbps라는 대역폭을 가진 서버가 있고 한사용자당 100kbps로 동영상 파일을 요청한다고 해봅시다.
최대 동접자수는 어떻게 될까요?
A.100Mbps / 100kbps = 약 1000명
Latency (RTT)
레이턴시(latency)는 자극과 반응 사이의 시간이며, 더 일반적인 관점에서는 관찰되는 시스템에서의 어떠한 물리적 변화에 대한 원인과 결과 간의 지연 시간이다.
- wikipidia
RTT(Round Trip Time)는 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신호의 수신 확인에 걸린 시간을 더한 값이자, 어떤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린 시간을 의미한다.
출처
트래픽 - 해시넷
트래픽(traffic)이란 서버와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에서 일정 시간 내에 흐르는 데이터의 양을 말한다. 웹사이트에 트래픽이 많다는 것은 사용자 접속이 많아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다는
wiki.hash.kr
레이턴시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레이턴시(latency)는 자극과 반응 사이의 시간이며, 더 일반적인 관점에서는 관찰되는 시스템에서의 어떠한 물리적 변화에 대한 원인과 결과 간의 지연 시간이다
ko.wikipedia.org
Network bandwidth의 개념과 Throughput 과의 차이
Network Bandwidth란? Network Bandwitdh(대역폭)은 네트워크에서 특정 시간 내에 전송 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용량을 의미한다. 네트워크의 대역폭이 높을수록, 한번에 더 많은 데이터가 전송 될 수 있
greencloud33.tistory.com
스루풋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스루풋(throughput) 또는 처리율(處理率)은 통신에서 네트워크 상의 어떤 노드나 터미널로부터 또 다른 터미널로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디지털 데이터 전송으로
ko.wikipedia.org
'CS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통신 종류 (0) | 2023.10.21 |
---|---|
Network Topology (0) | 2023.10.20 |
Network (0) | 2023.10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