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javascript
- dfs
- Kubernetes
- bean
- LifeCycle
- 탐욕법
- TIL
- GraphQL
- Linux
- 인접행렬
- Deep Dive
- 자료구조
- 인접리스트
- java
- Spring
- winston
- JWT
- 코딩테스트
- Interceptor
- 프로그래머스
- REST API
- MySQL
- typescript
- css
- html
- puppeteer
- 알고리즘
- nestjs
- OOP
- node.js
Archives
- Today
- Total
처음부터 차근차근
[TIL - 240118] 프로젝트 CI 프로세스, Spring 강의 진행 본문
728x90
오늘 한 일
- Chipi Backend CI 프로세스 정립 및 Github Action 설정
- Spring 강의 진행
Chipi Backend CI 프로세스 정립 및 Github Action 설정
- Backend CI 프로세스를 정립하게 위해 Github Action 설정을 진행했습니다.
- github 내 폴더가 push가 안된 상황이여서 에러가 발생하였으며, 이를 수정하였습니다.
CI 프로세스 정립을 위해 Github Action 설정을 진행하다 에러를 마주쳤습니다.
먼저 jest.json의 설정은
{
"moduleFileExtensions": ["js", "json", "ts"],
"rootDir": "./unit",
"testEnvironment": "node",
"testRegex": ".spec.ts$",
"transform": {
"^.+\\.(t|j)s$": "ts-jest"
},
"passWithNoTests": true
}
여기서 passWithNoTests 옵션은 Test가 없는 경우, Pass하는 옵션이며,
만약 이 옵션이 없을 경우, Github Action에서 Error로 발생합니다.
그러나 문제는 이것이 아니였습니다.
분명 unit 폴더를 vsCode에 생성하고 push 하였으나 업로드 되지 않았습니다.
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
폴더에 아무 파일도 존재하지 않으면 github에 push 되지 않는다.
따라서 이 부분을 수정하였습니다.
추가적으로 확인해보니 package.json에 jest를 설정할 수 있었습니다.
두 개의 json 파일로 설정하는 것보다는 이걸로 수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추후에 수정할 예정입니다.
Spring 강의 진행
- ComponentScan과 Component, Autowired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.
- 직접 사용해보니.. Nest보다 더 편한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.
직접 ComponentScan 에너태이션과 Component를 사용해보니, Nest가 조금 더 편한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.
Nest에서는 생성자를 만들고, 이후 모듈에 주입시켜줘야 하는데 Spring은 그런 작업 없이 애너테이션만 각각 추가하면 되서 더욱 편한 것 같다고 느꼈습니다.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 - 240109] 코딩테스트, Spring 공부 진행 (0) | 2024.01.09 |
---|---|
[TIL - 240104] 코딩테스트 (0) | 2024.01.05 |
[TIL - 240102] Java 다형성, 추상 클래스, 인터페이스 & 알고리즘 공부 (0) | 2024.01.02 |
[TIL - 231226] 정렬 방법 공부, Java 강의 진행, 코테 풀이 (1) | 2023.12.27 |
[TIL - 231218] Javascript 비동기 처리, Spring 입문 공부 (1) | 2023.1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