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코딩테스트
- 인접리스트
- OOP
- LifeCycle
- MySQL
- TIL
- bean
- Spring
- 자료구조
- 프로그래머스
- typescript
- 알고리즘
- REST API
- Deep Dive
- nestjs
- 인접행렬
- winston
- Linux
- JWT
- dfs
- javascript
- puppeteer
- html
- Kubernetes
- 탐욕법
- GraphQL
- css
- java
- node.js
- Interceptor
- Today
- Total
처음부터 차근차근
Flask란? 본문
Flask는 Python의 마이크로 웹 프레임워크이다. 다양한 웹 엔진과 붙여서 쓸 수 있고 또 가볍기도 해서 Django와 같이 쓰는 경우도 있다. 코드도 비교적 단순하고, 특히 API 서버를 만들기에 매우 편리하다. 관련된 확장 기능들이 많기 때문이다.
Flask의 장점 - 간결하다.
플라스크 프레임워크의 간결함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다음 코드를 살펴보자. 다음 코드는 완벽하게 동작하는 플라스크 웹 프로그램이다.
from flask import Flask
app = Flask(__name__)
@app.route("/")
def hello():
return "Hello World!"
if __name__ == "__main__":
app.run()
이 코드를 실행한 다음 웹 브라우저로 접속하면 화면에 ‘Hello World’가 출력된다. 이처럼 플라스크를 이용하면 파일 하나로 구성된 짧은 코드만으로도 완벽하게 동작하는 웹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.
- 확장성 있는 설계
Flask에는 Form, database를 처리하는 기능이 없다. 그러나 확장 모듈을 사용하여 이를 보완한다.
-> 플라스크로 만든 프로젝트의 무게는 가벼우며, 그때그때 개발자가 필요한 확장 모듈을 포함해가며 개발하면 된다.
- 자유로운 프레임 워크
다른 프레임워크보다 최소한의 규칙만이 있으므로, 다른 프레임보다 개발 자유도가 높다.
1-01 필자가 생각하는 플라스크란?
플라스크(Flask)는 2004년 오스트리아의 오픈소스 개발자 아르민 로나허(Armin Ronacher)가 만든 웹 프레임워크다. 플라스크는 아르민 로나허가 만우절에 장난삼아 던…
wikidocs.net
https://flask.palletsprojects.com/en/2.3.x/
Welcome to Flask — Flask Documentation (2.3.x)
flask.palletsprojects.com
'FrameWork > Flas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lask 개발 환경 준비 (0) | 2023.05.10 |
---|